독서의 과정 모형
독서 과정 모형에 대한 논의는 1960년대 심리학의 발전과 긴밀하게 연결
- Ruddell과 Unrau는 독서 과정 모형이 정립되는 것을 대양에 부침하는 파도에 비유하고 설명
제1파 : 철자와 단어의 해독을 강조하고 미시적 수준의 감각적 재현에 관한 Gough(1972)의 연구
제2파 : 텍스트의 회상을 증가시킨 텍스트 구조 이론
제3파 : 배경 지식의 영향을 강조한 스키마 이론
제4파 : 상향식과 하향식 모형의 절충
제5파 : 기억 표상에 관한 연구
제6파 : 사회문화적 맥락에 관한 연구
1. 상향식 과정 모형 : 독서를 읽고 의미를 구성하는 것
- 글과 글을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에 주목하였기 때문에 '글 중심의 독서'
- 각각의 언어 단위를 처리하는 것을 기능(skill)로 인식하였기 때문에 '기능 중심의 독서'
- 언어 처리의 하위기능(sub skill)를 강조
- 독서란 글의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고, 의미는 '글'에 있다고 생각
- 정음법 강조 : 글자를 소리 내어 독서만 하면 뜻은 자동으적으로 이해
- 독서 기능 발달 순서 : 해독 → 단어 이해 → 글의 의미 이해
2. 하향적 과정 모형 : 의미 구성에서 독자에게 중요한 지위를 부여하고 접근한 모형
- 독자 중심의 독서
- 글은 의미를 전달하는 단초나 자극에 불과하지 의미 그 자체는 아니다.
- 독서를 통해 의미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독자가 적극적으로 자신의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글의 내용과 연결
3. 상호작용적 과정 모형 : 상향식과 하향식의 절충
- 독서는 의미를 구성하는 것인데, 그 의미는 글에도 있고, 독자 머릿속에도 있다.
- D. E. Rumelhart에 의해 이론화
- 균형적 지도법 : 음독, 해독, 정음법 등을 강조한 상향식 모형과 예측, 통합, 전체 언어(whole language) 등을 강조한 하향식 모형을 절충하여 균형적으로 지도
- 독서의 하위 과정을 크게 '해독, 어휘, 독해'의 셋으로 구분(지도 순서를 가정하지 않는다.)
4. 교섭 과정 모형 : 독자가 글을 읽고 구성하는 의미는 독자의 글과의 교섭의 결과
- 독자는 개인적 경험만으로 글을 읽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문화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 의미를 구성한다.
- 교섭은 독자와 글 사이뿐만 아니라 독자에 영향을 주는 다른 독자, 교사, 상황, 맥락, 과제 사이에 교섭도 일어난다.
- 맥락 중심의 독서
- 심리학적 배경으로 비고츠키를 중심으로 한 사회구성주의 심리학과 통한다.
※ 독서 과정에 대한 모형의 비교
기준 | 상향식 과정 모형 | 하향식 과정 모형 | 상호작용 과정 모형 | 교섭 과정 모형 |
의미와 위치 | 글 | 독자 | 독자, 글 | 독자, 글, 저자, 맥락 |
의미와 의미 | 저자가 의도한 의미 | 독자가 구성한 의미 | 독자가 구성한 의미 | 저자와 독자가 협상한 의미 |
독서 유형 | 글 중심의 독서 | 독자 중심의 독서 | 글, 독자의 상호작용 중심의 독서 |
맥락 중심의 읽기 |
독서 지도 관점 | 분절, 기능, 독해=해독x듣기 |
전체(whole), 전략 | 균형(balance), 절충 | 거래, 맥락, 상황 |
강조점 | 해독, 정음법 | 스키마, 예측 | 구성, 독해 | 대화, 협상 |
주요 독서 형태 | 음독, 유창한 읽기 (fluent reading) |
묵독 | 발췌독, 재독, 확인, 통합 | 비판적 독서, 심미적 독서, 창의적 독서 |
배경 심리학 | 행동주의심리학 | 형태심리학 | 인지심리학 | 사회구성주의 심리학 |
주요 이론가 | P. Gough, J, Samuels |
K. Goodman | D. Rumelhart | L, Rosenblatt |
독서 제재 | 통제된 글 | 자연스러운 이야기 | 통제된 글과 자연스러운 이야기 |
문학 작품, 다양한 책 |
'페이퍼로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분류론 - 동서양의 문헌분류사 (0) | 2025.02.18 |
---|---|
교육학(feat. 임용시험) (0) | 2025.02.18 |
독서교육론(독서지도론) :: 독서의 개념 (0) | 2025.02.06 |
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학과 박사과정 합격 후기 (2) | 2024.12.28 |
우리나라 문헌정보학 및 기록학 분야 학회 소개 (0) | 2024.12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