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페이퍼로드

분류론 - 동서양의 문헌분류사

728x90
반응형
SMALL

 

분류론

동서양의 문헌분류사



 

 

 

 

  1. 분류이론 및 역사
    1. 분류의 개념과 원리
    2. 동서양의 문헌분류사
    3. 서양의 문헌분류사

 

 

3. 서양의 문헌분류사

 

콜론분류법(CC)

  • 인도의 도서관학자 S.R. Ranganathan 이 조립식 장난감에서 얻은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고안한 분석합성식 분류법의 대표적 유형
  • 콜론분류법(CC)의 기본 범주에는 Persality(개성), Matter(소재), Energy(기능), Space(공간), Time(시간) (PMEST) 가 있다.

 

베이컨(F. Bacon) - 학문 분류의 주제 배열

  • 기억, 상상, 이성의 세 가지 요소로 역사, 시, 철학의 표목을 작성하였다.
  • 도서관 분류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, 듀이십진분류표(DDC)는 이에 근거하였다.

 

 

듀이십진분류법(DDC) - 문헌 분류의 주제 배열

  • 1876년, 멜빌 듀이가 만든 분류법
  • 각 국가가 사용하는 현대 분류표의 대부분이 DDC에서 영향을 받았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현대 문헌정보학계에서 절대적인 위치 가지고 있다.
  • 한국에서도 마찬가지로 한국십진분류표(KDC)와 함께 국내 도서관에서 사용하는 자료 분류법의 양대 산맥이다.

보조표

  • Table 1 : 표준구분
  • Table 2 : 지리, 시대, 전기
  • Table 3 :
  • Table 4 : 개별언어, 언어공통구분
  • Table 5 : 민족, 국가군
  • Table 6 : 언어

 

 

국제십진분류법(UDC)

  •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학술 및 도서관 분류법
  • 책이나 자료를 체계적으로 찾기 쉽게 하기 위해 개발된 십진 분류법 중 하나
  • 장점 : 확장성, 유연성, 다국적 활용 가능, 주제 간 관계 표현
  • 단점 : DDC보다 기호가 많아 배우기 어려움, 일반 도서관 보다는 전문 기관에서 주료 사용.

보조표

  • Table 1c : 자료의 형태(책, 논문, 지도, 특허 등)를 나타냄
  • Table 1d : 역사적 시대나 특정 연대를 나타냄
  • Table 1e : 특정 국가나 지역을 나타냄
  • Table 1f : 자료의 언어를 나타냄
  • Table 1j : 특정 민족이나 집단을 나타냄
  • Table 1k : 어떤 자료의 성격을 나타냄

 

 

 

베이컨(F. Bacon) 학문 분류의 주제 배열을 역순으로 구성한 해리스 분류법은 듀이십진분류법 주제 배열에 직접적 영향을 줌.

 

콜론분류법의 기본 범주 중 공간(Space)은/는 듀이십진분류법의 Table 2와 국제십진분류법의 Table 1e가 분류하는 자료의 공통적인 특징과 연관성이 높음.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
LIST